이번 포스팅에서는 비교적 간단한 HTML, XML 문서가 어떻게 파싱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그 전에 XML, HTML이 무엇인지부터 알아야합니다. XML, HTML을 파싱한 결과물인 DOM의 구조에 대해서도 살펴보겠습니다. HTML, CSS, Javascript 코드는 웹 페이지를 구성하는데요, HTML을 파싱하여 생성된 트리 자료구조를 DOM, CSS를 파싱하여 얻은 자료 구조를 CSSOM, JS 코드는 AST라고 합니다. DOM, CSSOM, AST로 웹브라우저에 화면이 렌더링되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컴파일링 이론을 왜 배워야하는지 생각해보겠습니다. 좀 더 나은 이해를 돕기위해 위의 DOM, 그리고 컴파일러 이론의 기반을 이루는 오토마타 이론을 간단히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간단한 HTML Parser를 구현해보겠습니다.
DOM, AST - Syntax Analyzing 단계의 결과물
XML, HTML이란?
Extensible Markup Language는 Markup Language로 공유 가능한 방식으로 데이터를 정의하고 저장하는 언어입니다. Markup Language의 다른 예로는 대표적으로 HTML이 있습니다.
HyperText Markup Language(HTML)은 웹 페이지 표시를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기 위한 markup 언어입니다. XML과의 차이점은 HTML은 이미 약속된 태그들만 사용 가능한 반면, XML은 임의로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서 정보들을 태그로 마크하여 필요한 내용을 함께 저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정리하면, XML은 텍스트 기반, 간결한 데이터 형 언어이며, 마크업 언어가 아닌 마크업 언어를 정의하기 위한 언어로 자신의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게 작성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파서는 XML, HTML, JavaScript 코드, 혹은 우리가 작성한 언어에 맞는 코드를 컴파일 전에 트리구조 형태로 만듭니다. XML과 HTML은 DOM이라는 뼈대를 이루는 객체들이 모인 Object Model 트리구조로 생성하고, 웹 브라우저에 렌더링하기위한 JavaScript는 추상 구문 트리(AST)라는 트리 구조로 결과물을 반환합니다. 웹 브라우저에 화면이 렌더링되는 과정은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DOM이란?
DOM(Document Object Model)은 XML이나 HTML 문서에 접근하기 위한 API로 W3C 표준 권고안입니다. DOM은 문서 내의 모든 요소를 정의하고, 해당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까지 정의합니다. DOM 표준은 아래와 같이 3가지로 구분됩니다.
W3C DOM 표준의 3가지 구분
- Core DOM : 모든 문서 타입을 위한 DOM 모델
- HTML DOM : HTML 문서를 위한 DOM 모델
- XML DOM : XML 문서를 위한 DOM 모델
이 포스팅에서 구현해볼 것은 이 중 XML DOM에 대한 Parser입니다.
추상 구문 트리(Abstract Syntax Tree)란?
추상 구문 트리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소스 코드의 추상 구문 구조의 트리이며, 이 트리의 각 노드는 소스코드에서 발생되는 구조를 나타냅니다. 쉽게 말하면, 우리가 작성한 JavaScript 소스코드를 문법에 맞게 노드들로 쪼개서 만든 트리입니다. 추상(Abstract)라고 하는 이유는 추상적인 형태이기 때문이 아닌, 코드에 필연적으로 포함되는 괄호, 기타 부호와 같은 코딩 구문을 포함하므로 추상이라고 합니다.
JavaScript의 컴파일 과정을 예로들어 설명해보겠습니다. AST는 컴파일러가 필요한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컴파일 단계 중 구문 분석(Syntax Analyzing) 단계의 결과물입니다. 아래와 같은 순서로 컴파일되어 작동하게 됩니다.
- JS의 예시) 자바 스크립트 코드 - Abstract Syntax Tree - 인터프리터 - 바이트 코드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
위의 개념들을 바탕으로 브라우저가 어떻게 렌더링을 수행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 브라우저는 HTML, CSS, JS 등 렌더링에 필요한 리소스를 요청하고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습니다.
- 브라우저 렌더링 엔진은 서버로부터 응답된 HTML과 CSS를 파싱하여 DOM(HTML), CSSOM(CSS)를 생성하고 결합하여 렌더 트리를 생성합니다.
- 브라우저의 JS 엔진은 서버로부터 응답된 JS 코드를 파싱하여 AST를 생성, 바이트코드로 변환하여 실행합니다.
- 이 때, DOM API를 통해 DOM, CSSOM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변경된 DOM, CSSOM은 렌더 트리로 결합됩니다.
- 렌더 트리를 기반으로 HTML 레이아웃을 계산하고 화면에 페인팅합니다.
즉, 파싱 결과물인 DOM(HTML), CSSOM(CSS), AST(JS)를 결합하여 렌더 트리를 생성하고 렌더 트리를 유기적으로 변경하면서 화면에 페인팅하게 되는 것이죠. 그리고 그러한 트리 구조를 생성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파서의 작동 방식을 이해하는 것이 됩니다.
컴파일러 이론(Tokenizer, Lexer, Parser)
위에서는 코드를 읽어서 파스 트리로 만들기까지의 역할을 Parser라고 설명했지만, 파서를 나누면 아래와 같이 Tokenizer, Lexer, Parser로 기능별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토크나이저 (Tokenizer)
어떤 구문에서 의미있는 요소들을 토큰으로 쪼개는 역할을 합니다. 토큰이란, 어휘 분석의 단위를 의미하는 컴퓨터 용어로 일반적으로 의미있는 단위로 지정됩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BODY>
<P>PORO
<IMG SRC="porolog.tistory.com"></IMG>
<BR/>
</P>
</BODY>
</HTML>
<![<, !, DOCTYPE, html, >, <, HTML, lang, =, ko, >, <, BODY, >, <, P, >, PORO, <, IMG, SRC, =, porolog.tistory.com, >, <, /IMG, >, <, BR/, >, <, /P, >, <, /BODY, >, <, /HTML, >]>
간단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의 HTML을 토크나이저로 구분하는 경우 위와 같이 되겠습니다. 토큰의 구분은 예시용으로만 참고해주세요.
- 토큰 종류
- identifier : 식별자
- keyword : 예약어
- separator : 글자를 구분하는 문자
- operator : 연산을 위한 심볼
- literal : 숫자, 논리, 문자
- comment : 줄, 블록 주
코드는 참고만 해주세요.
public class Tokenizer {
private static List<String> tokens = new LinkedList<>();
private static int cursor;
public static void run(String str) {
while (cursor < str.length()) {
if (cursor == str.length()) {
break;
}
if (addToken(str, "[a-z]|[A-Z]|[_-]|[0-9]|[/($)]")) { //Keywords : alphabet + underbar
continue;
}
if (addStringToken(str)) { //" " 문자열
continue;
}
if (skipToken(str, ' ')) { //공백 skip
continue;
}
if (skipToken(str, '\n')) { //개행 skip
continue;
}
addToken(str); //그 외 identifier(특수 문자)
}
}
public static boolean skipToken(String str, char target) {
if (str.charAt(cursor) == target) {
cursor++;
return true;
}
return false;
}
public static void addToken(String str) {
tokens.add(String.valueOf(str.charAt(cursor)));
cursor++;
}
public static boolean addToken(String str, String regex) {
int offset = 0;
while (str.substring(cursor + offset, cursor + offset + 1).matches(regex)) {
offset++;
}
if (offset != 0) {
tokens.add(str.substring(cursor, cursor + offset));
cursor += offset;
return true;
}
return false;
}
public static boolean addStringToken(String str) {
int offset = 0;
if (str.charAt(cursor) == '\"') { //따옴표가 나오면
cursor++;
while (str.charAt(cursor + offset) != '\"') //따옴표가 나올 때 까지
{
offset++;
}
tokens.add(str.substring(cursor, cursor + offset));
cursor += offset + 1;
return true;
}
return false;
}
public static List<String> getTokens() {
return tokens;
}
}
렉서 (Lexer)
분해된 토큰의 의미를 분석하는 역할, 토크나이저와 렉서의 역할을 합하여 Lexical Analyze라고 합니다. 의미있는 조각을 검출하여 토큰을 생성하는 것으로, 토큰 단위로 생성된 데이터를 parser에게 넘겨줍니다. 예시로는 아래와 같이 만들었는데, 제 경우는 Lexer에서 토큰을 분석해서 element, attributes, child를 구분해주는 역할까지 추가했습니다.
element: 'HTML',
attributes: [
{name : lang, value : "ko"}
]
child : [BODY]
element: 'BODY',
child : [P]
element: 'P',
text : 'PORO' ,
child : [IMG]
element: 'IMG',
attributes: [
{name : SRC, value : "porolog.tistory.com"}
]
element: 'BR'
마찬가지로 참고용 소스코드입니다.
public class Lexer {
/**
* tokenSet : tag를 저장하는 stack
* bracket : bracket을 저장하는 stack
*/
public static final Stack<Node> tokenSet = new Stack();
public static final Stack<String> bracket = new Stack();
public static final List<Node> nodes = new LinkedList<>();
public static void run(List<String> tokens) {
Iterator tokenList = tokens.iterator();
while (tokenList.hasNext()) {
String token = (String)tokenList.next();
// 주석 처리
if (token.equals("!") || token.equals("?")) {
while (!token.equals(">")) {
token = (String)tokenList.next();
}
bracket.pop();
continue;
}
/**
* 여는 괄호 처리 - Bracket Stack에 추가
*/
if (token.equals("<")) {
bracket.push("<");
continue;
}
/**
* 닫는 괄호 처리 - Bracket Stack에서 제거
* 가장 위의 토큰의 특성을 더 이상 수정할 수 없는 상태로 만든다.
*/
if (token.equals(">")) {
if (!bracket.isEmpty() && bracket.peek().equals("<")) {
bracket.pop();
}
if (!tokenSet.isEmpty())
tokenSet.peek().unmodify();
continue;
}
/**
* 예외 처리 : BR은 바로 노드에 추가(Closing Tag를 생략)
*/
if (token.equals("BR/")) {
nodes.add(new Node("BR"));
continue;
}
/**
* Closing Tag 처리 : token Stack의 최근 값과 일치하면 pop
*/
if (!tokenSet.isEmpty()) {
String name = tokenSet.peek().element;
if (token.substring(1).equals(name)) {
tokenSet.pop();
continue;
}
else if (token.charAt(0) == '/' && !token.substring(1).equals(nam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올바르지 않은 형식입니다.");
}
}
/**
* text element 처리 : Bracket stack이 비어 있는 경우
* node의 text 요소에 추가
*/
if (bracket.isEmpty()) {
tokenSet.peek().text = token;
continue;
}
/**
* 속성 처리 : bracket stack에 "<"이 있는 경우
* attribute, value 값을 순차적으로 추가
*/
if (!bracket.isEmpty() && bracket.peek().equals("<")) {
if (!tokenSet.isEmpty() && tokenSet.peek().isAttributeEmpty()) {
tokenSet.peek().attribute.add(token);
token = (String)tokenList.next();
}
if (token.equals("=")) {
token = (String)tokenList.next();
}
if (!tokenSet.isEmpty() && tokenSet.peek().isValueEmpty()) {
tokenSet.peek().value.add(token);
continue;
}
}
/**
* 그 외의 항목은 새로운 Keyword로 node에 추가
*/
Node e = new Node(token);
if (!tokenSet.isEmpty()) {
tokenSet.peek().children.add(e); //아직 안닫혀있으면 children에 추가
}
tokenSet.push(e);
nodes.add(e);
}
}
파서 (Parser)
파싱(구문 분석)은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맞게 작성된 텍스트 문서를 읽어 들여 실행하기 위해 텍스트 문서의 문자열을 토큰으로 분해(어휘 분석), 의미와 구조를 반영해 트리 구조의 자료구조인 파스 트리를 생성하는 일련의 과정입니다.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바꾸는 과정에서 데이터가 올바른지 검증하는 역할도 수행합니다. 일반적으로 파싱이 완료된 후에는 파스 트리를 기반으로 중간 언어인 바이트 코드를 생성하고 실행합니다. 아래 예시에서는 Parser가 다음 역할들을 수행하도록 작성했습니다.
1. DOM 객체를 생성하여 트리 구조로 데이터를 담아줍니다. (DOM 객체는 트리를 탐색하는 메서드들을 지원합니다.)
2. Tag와 괄호가 제대로 여닫혔는지 검사합니다.
{
element: 'HTML',
attributes: [
{
name : lang, value : "ko"
}
]
children : [
{
element: 'BODY',
children : [
{
element: 'P',
text : 'PORO' ,
children : [
{
element: 'IMG',
attributes: [
{
name : SRC, value : "porolog.tistory.com"
}
]
element: 'BR'
]
}
]
}
]
}
오토마타 이론
마지막으로, 오토마타 이론입니다. 컴파일러 이론의 기초가 되는 이론입니다. 0,1만 아는 기계가 어떻게 인간이 사용하는 추상적인 언어를 이해할 수 있을까에 대한 이론입니다. 간략하게 작성했고 포스팅 주제와 관련성이 있지만 굉장히 다루는 범위가 넓기때문에 이런게 있구나하고 스킵하셔도 좋습니다.
오토마타란?
- 계산 능력을 갖춘 추상적 연산 장치, 기계
- 오토마타 이론 : 추상적인 연산 장치가 계산할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이론
형식 언어의 정의
- 언어도 오토마톤에 입력할 수 있을까?
- 모호한 자연어 대신 형식대로 구성된 언어는 기계도 이해할 수 있다.(인공지능 언어)
형식 문법
- 형식 언어를 정의하는 방법, 유한 개의 규칙을 통해 어떤 문자열이 특정 언어에 포함되는지를 판단, 문법으로부터 어떤 문자열을 생성해낼지 결정.
- 생성 문법 : 형식 문법에서 해당 형식 언어의 문자열 생성
- 해석 문법 : 어떤 문자열이 특정 언어에 포함되는지 판단
형식언어의 요소
- 심볼 : 언어의 기본적인 단위, 기호
- 알파벳 : 심볼의 비어있지 않은 유한한 집합(한글, 영어의 알파벳)으로 시그마로 표현
- 문자열 : 선택된 알파벳에서 선택하여 나열한 유한한 심볼들
- 언어 : 어떤 알파벳 시그마 스타의 부분 집합
- 시그마 스타 : 해당 알파벳에서 만들 수 있는 모든 문자열 집합(무한 집합)
촘스키 위계
- 어떤 스펙을 가진 오토마타는 입력받은 문자열이 어떤 형식 언어에 속하는 문자열인지 판별할 수 있다는 계산 가능성 이론
- 유한 오토마타 : 정규 언어를 인식할 수 있는 오토마타, 가장 좁은 범위의 형식 언어를 인식할 수 있다.
유한 오토마타
- 유한한 개수의 상태를 가지는 오토마타
- 임의의 시각 t에 단 하나의 상태만 가질 수 있다.
- 유한한 오토마타가 어느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변화하는 것을 전이라고 한다.
- 유한 오토마타라는 추상적인 기계를 문자열을 입력받아 언어에 포함된 문자열인지 판단하는 인식기의 역할
- 기억 공간의 한계로 유한 오토마타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는 한정적, 유한 오토마타가 인식할 수 있는 언어를 정규 언어라고 정의한다.
유한 오토마타의 구성
- Q(상태의 집합) : 가질 수 있는 유한한 상태의 집합
- Sigma : 입력으로 주어지는 알파벳
- q0 : 시작 상태
- F : 마지막 상태, 입력 직후 마지막 상태이면 받아들여진다고 판단한다. 여러 개일 수 있다.
- delta : 전이함수, 어떤 상태에서 입력이 주어지면, 다른 상태로 전이
유한 오토마타의 유형
- 결정적 유한 오토마타(DFA) 한 입력에 대해서 무조건 하나의 전이만 가능한 경우에 해당한다. 모든 상태에서 모든 알파벳에 대해 전이 함수가 한가지로만 정의되어있다.
- 비결정적 유한 오토마타(NFA) 한 입력에 대해 여러가지 경로가 존재하거나, 아무 경로도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 ε-전이가 있는 비결정적 유한 오토마타(ε-NFA) 앱실론 전이는 입력이 앱실론인 전이함수를 의미한다. 즉, 아무것도 입력하지 않아도 상태 q0에서 q1으로 전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모든 상태는 앱실론이 입력되면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생략된 전이)
정규 표현식
형식 언어 L에 대해 유한 오토마타에 의해 규칙성을 인정받은 언어를 정규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정규 언어는 규칙을 가지며, 정규 표현식에 의해 표현 가능하다. 정규 언어는 어떤 규칙을 가지고 있고, 정규 표현식을 이용해서 표현 가능하다. 즉, 정규 표현식은 정규 언어를 표현하는 또다른 방법이다.
정규 표현식과 유한 오토마타
- 정규 표현과 유한 오토마타 사이에는 정규 언어라는 접점이 존재한다.
- 정규 표현은 정규 언어를 생성한다.(생성기)
- 유한 오토마타는 정규 언어를 확인한다.(인식기)
- 정규 표현과 유한 오토마타는 동등하다.
- 즉, 정규 언어를 동등한 유한 오토마타, 정규 표현으로 나타낼 수 있다.
문맥 자유 언어
- 정규 언어가 표현할 수 있는 언어를 포함해서 더 많은 언어를 표현할 수 있음을 의미
- 문맥 자유 언어를 표현하는 2가지 방법
- 푸쉬다운 오토마타(인식기)
- 문맥 자유 문법(Context Free Language)
문맥 자유 문법
형식 문법의 한 종류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 문법은 문맥 자유 문법에 속한다. 정규 표현식보다 계층 높고, 많은 언어를 표현가능하다.
G = (V,T,P,S)로 정의한다. V는 변수, T는 단말의 집합, P는 생성 규칙의 집합, S는 시작 변수이다.
어떤 문자열이 특정 문맥 자유 문법에 속했는 지 확인하는 방법
- 유도 : 시작 변수에서 해당 문자열을 생성하는 것을 보이는 것
- 재귀적 추론 : 문자열에서 시작해 시작 변수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
'Computer Science >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객체지향 설계, UML 다이어그램 - 콘솔 체스 구현하기 (Java) (0) | 2023.02.08 |
---|---|
함수형 프로그래밍 기초 - 재귀, 카테고리 이론, 모나드(Monad), 고차 함수(Java) (0) | 2023.02.04 |
함수형 프로그래밍 입문 with 람다 대수, 함수형 인터페이스 (Java) (1) | 2023.02.01 |
객체지향 설계 연습(SOLID, GRASP) - 좌표평면 도형 그리기 (Java) (2) | 2023.01.28 |
프로세스의 메모리 영역 (Heap, Stack) 구현하기 (Java) (0) | 2023.01.15 |